Site Map
APHASIA/APHONIA
실어증은 입, 발성 기관, 귀의 외상 없이, 뇌의 질환이나 손상으로 인해서 언어의 이해 및 표현 능력이 상실된 상태, 실성증은 성대에 병변이 생겨서 소리를 전혀 내지 못하는 병증으로 성대와 그 주변의 관련조직의 마비, 염증, 종양, 부종, 비후, 반흔 등 때문에 성대가 접착하지 않고(폐쇄부전) 기식음이 나오는 상태입니다.
※당연한 설명이지만 Before / After 영상은 동일 인물입니다.
실어증(Aphasia) 원인 : 언어 기능을 담당하는 뇌의 구조를 침범할 수 있는 모든 병이 실어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뇌졸중, 뇌종양이 언어 기능을 담당하는 뇌 부위에 발생하면 실어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교통사고 등에 의한 두부 외상, 뇌종양, 뇌염, 치매, 비타민 결핍, 심리적 충격, 정신 질환 등 다양한 원인이 실어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실성증(Aphonia _Loss of Voice) 원인 : 무성음증이나 음성 상실이 있다면 목소리가 쉰 소리로 들리거나 속삭임 이상으로 말할 수 없어서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때로는 전혀 말할 수 없습니다. 때로는 목소리가 이상하거나 다르다고 생각해서 말하고 싶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개개인마다 생성되는 SCMBP프로파일 회로와 표준 회로도 분석에 의한... 사운드메뉴버 접근법!
보이스매핑이론에 의하면 신생아의 첫 울음소리로 부터 시작되는 감각,인지,운동,행동,심리의 SCMBP프로파일 회로가
생성된다는 것인데,
그 이상적이고 정상범위에 속하는 회로도가 '표준 회로도' 입니다.
실어증 발생-대뇌 중에서 감각 영역과 운동 영역은 사람의 언어와 관련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측두엽에 위치한 감각 영역은 우리가 귀로 들은 내용을 이해하는 곳입니다. 즉, 이곳이 파괴되면 우리가 귀로 들은 것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전두엽에 위치한 운동 영역은 말을 하기 위해서 입이나 후두를 움직이는 명령을 내려주는 곳입니다. 이곳이 손상되면 입이나 발성 기관이 정상이라도 말을 할 수가 없습니다.
운동언어 문제-운동 영역의 손상으로 생기는 언어 상실을 말합니다. 감각 영역이 정상이므로 타인의 말을 잘 이해합니다. 그러나 운동 영역이 손상되어 자신의 뜻을 표현하지 못합니다.
감각언어 문제-감각 영역의 손상으로 생기는 언어 상실을 말합니다. 운동 영역이 정상이므로 자신의 생각을 잘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감각 영역이 손상되어 타인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고 묻는 말에 대해 동문서답합니다.
실성증 원인-무성증은 기능적 음성 장애로 간주됩니다. 기능적 무성증이 있는 사람들은 신체적으로 괜찮습니다. 그들은 목소리를 정상적으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목소리를 잃었을 수 있습니다.
심인성 실성증 -심인성 무성증 또는 심인성 전환 무성증은 감정적 또는 심리적 스트레스로 인해 갑자기 목소리를 잃는 경우입니다. 심인성 무성증이 있는 사람들은 말할 수 있지만 억지로 속삭이는 식으로만 말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