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
CHILD & YOUTH
소아ㆍ청소년 (생후6개월~19세)시기에 장애 범주에 해당되지는 않으나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있는 경우 적합한 평가를 통해서 문제해결중심으로 진행 됩니다.
※당연한 설명이지만 Before / After 영상은 동일 인물입니다.
0~11개월 : 이 연령에서는 아동이 말하기 위한 기초를 쌓게 된다. 울음, 옹알이 등에서 호흡, 발성, 의사소통 방법을 연습하게 된다. 생후 8개월에서 만 1세에는 첫 낱말을 말하기 시작하는데, 첫낱말은 아이가 흔히 접하고 필요로 하는 것 중에서 선택된다(예: 엄마, 아빠, 맘마, 물, 줘 등)
12개월~24개월 : 첫 낱말 이후 계속적이며 점차적인 어휘 증가가 나타난다. 18개월 이상이 되면 주위 환경, 감정, 요구 표현 등을 두 단어를 결합해 문장으로 표현하기 시작한다(예: 물 줘).
24개월~36개월 : 만 2세 정도가 되면 아동들은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이나 원하는 것을 표현할 때, 두 단어로 된 문장형태를 주로 사용한다.
36개월~54개월 : 만 3세경이 되면, 한 번에 세 단어 혹은 그 이상을 말하기 시작한다. 주어+목적어+동사(예: 성재 빵 먹어)로 구성되는 단순한 문장 형태로 표현이 이루어지며, 이들 각 요소(주어, 목적어, 동사)들은 좀 더 긴 절로 확장되기 시작한다. 또한 만 4세에는 문장과 문장을 연결해 표현할 수 있으며(‘나는 밥 먹고 누나하고 놀 거야.'), 종속접속사(그리고, 그래서)를 사용하게 된다.
55개월 이후 : 언어 능력이 계속 성장되어 가고 세련되어, 만 5세경에는 문법구조를 성인과 비슷한 수준으로 사용한다.
개개인마다 생성되는 SCMBP프로파일 회로와 표준 회로도 분석에 의한... 사운드메뉴버 접근법!
보이스매핑이론에 의하면 신생아의 첫 울음소리로 부터 시작되는 감각,인지,운동,행동,심리의 SCMBP프로파일 회로가
생성된다는 것인데,
그 이상적이고 정상범위에 속하는 회로도가 '표준 회로도' 입니다.
-또래에 비해서 언어가 느린 아동
-또래에 비해서 발음이 부정확한 아동
-목소리가 또렷하지 못한 쉰목소리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청소년
-변성기이후 힘없는 목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