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
MULTI-CULTURAL FAMILY
다문화가정 아동은 어머니의 출신국 언어의 억양이나 조음에 영향을 받아서 독특한 억양이나 조음특성이 나타나는 사례가 적지 않습니다. 학령기 아동의 경우, 부족한 경험으로 인하여 의사소통 능력 뿐많이 아니라 이야기하기 과제 및 문제해결력이 미숙하고 질문에 답할 때 서툰 표현력이 관찰됩니다.
※당연한 설명이지만 Before / After 영상은 동일 인물입니다.
한국어가 미숙하고 발음이 부정확한 외국인 어머니와 함께 있으면서 적절한 언어자극을 충분히 받지 못하게 되는것과, 아동은 이중 언어로 언어발달이 지연되거나 혼란을 격게 됩니다.
문화가정 아동들의 상당수가 정상적인 말과 언어의 발달을 성취하지 못합니다. 언어발달 문제로 인해 학업능력의 문제도 생기게 됩니다.
다문화 가정 아동은 대체로 수용언어능력과 표현언어능력 그리고 조음음운능력이 자신의 생활연령보다 낮습니다. 수용언어(이해)와 표현언어 모두에서 어려움을 가지는 경우도 있고, 이해에 문제가 없는 경우에도 표현 언어 지체를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휘를 습득하고 사용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입니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는 일상생활의 소통에 필요한 어휘를 익히고 다양한 구문을 익히고 표현을 하는 것에 중점을 둡니다.
개개인마다 생성되는 SCMBP프로파일 회로와 표준 회로도 분석에 의한... 사운드메뉴버 접근법!
보이스매핑이론에 의하면 신생아의 첫 울음소리로 부터 시작되는 감각,인지,운동,행동,심리의 SCMBP프로파일 회로가
생성된다는 것인데,
그 이상적이고 정상범위에 속하는 회로도가 '표준 회로도' 입니다.
언어지체다문화가정 아동은 어휘력, 수용언어능력, 표현언어능력 모두에서 높은 비중의 언어지체가 나타남.
필요성다문화가정 아동 이중언어 습득을 위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국가비율지역 평균은 베트남(28%), 중국(21%), 필리핀(17%), 일본(11%), 몽골(11%) 순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장벽다문화 가정 의사소통의 지원 장벽에 대한 인식은 아동 치료보다 부모 상담에서 장벽이 더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특성화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특성화된 언어재활 프로그램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