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

SCMBP프로파일 회로

CIRCUIT PROFILES MODE

SCMBP프로파일 회로

감각 Sensory, 인지 Cognitive, 운동 Motor, 행동 Behavior, 심리 Psychology 5개 영역 프로파일 회도로 생성 및 재구성 됩니다.


SㆍCㆍMㆍBㆍP 뇌 상호작용


아래의 뇌 마커나 탐색 버튼을 클릭하면 뇌가 음성을 처리하는 방식을 자세히 알아볼 수 있습니다.

인지

인지 기술
  • 추론, 계획, 문제 해결, 주의, 작업 기억, 조직, 추상적 사고, 행동의 개시, 억제, 모니터링을 포함한 실행 기능
인지 기술과 관련된 뇌 영역
  • 전두엽 - 전두엽 피질, 등외측 전두엽 피질, 전대상 피질, 안와전두엽 피질을 포함합니다. 변연계 - 해마.
뇌가 인지 기술을 위해 음성을 처리하는 방법
  • 뇌는 리듬, 템포, 멜로디, 소리울림 등 음성의 모든 요소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며, 음성을 생성하는 활동은 특히 뇌를 조직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이러한 청각 자극은 뇌의 상위 인지 처리 영역으로 올라가 인지 기술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향상시킵니다..
음성이 인지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어떻게 사용되는가
  • 음성생성 및 사용은 최적의 학습 환경을 제공하고, 정보를 더 쉽게 배우고 기억할 수 있는 작은 덩어리로 구성하며, 암기를 돕습니다.
  • 음성 사용은 주의를 사로잡고 유지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학습이 일어나기 전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 연구에 따르면 음성사용은 새로운 개념을 배우는 데 기억 장치로 종종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행동

말하기/언어 능력
  • 언어 생산, 발음, 이해, 읽기, 쓰기, 그리고 언어와 생각의 구성.
언어 능력에 관여하는 뇌 영역
  • 전두엽 - 브로카 영역. 측두엽 - 베르니케 영역. 두정엽 - 각회.
뇌가 언어를 위해 소리 제어를 처리하는 방법
  • 말과 음성산출 제어는 뇌에서 기능과 근접성 면에서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말은 자연스럽게 박자, 리듬, 그리고 운율의 멜로디적 윤곽과 같은 소리의 요소를 통합하며, 연구에 따르면 소리 제어는 이러한 말/언어 기능을 강화합니다.
소리를 생성하고 사용하는 활동이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어떻게 사용되는가
  • 연구에 따르면 소리생성 제어와 말하기 능력은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청각장애인 들에게는 비언어적으로 소통하고 자신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또한, 소리의 생성과 제어는 종종 언어적 의사소통, 말하기 및 언어 능력의 발달을 돕습니다.
  • 언어치료는 언어 능력에 장애가 있거나 지연이 있는 사람이 소리 활동을 통해 말하는 법이나 소리를 다루는 기술을 통해 비언어적으로 소통하는 법을 배우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운동

운동 기술
  • 자발적 및 비자발적 움직임, 운동 계획, 운동 제어, 운동 조정 및 균형.
운동 기술과 관련된 뇌 영역
  • 전두엽 - 1차 운동 피질, 전 운동 피질, 보조 운동 영역. 소뇌와 기저핵..
뇌가 운동 기술을 위해 소리제어를 처리하는 방법
  • 청각 자극은 뇌의 고차원적 인지 처리 영역으로 올라가는 동시에 척추를 따라 직접 내려가 신체 근육에서 즉각적인 반사적 반응을 일으켜 보다 조직적인 움직임을 생성합니다.
음성 산출이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어떻게 사용되는가
  • 연구는 소리 산출과 움직임 사이의 유사점을 뒷받침합니다. 리듬은 움직임을 조직, 조정 및 개선하기 위한 외부 시간 관리자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소리를 다루는 기술 '사운드메뉴버'를 통해 운동 계획, 운동 제어, 운동 조정, 보행 훈련 및 신체 인식을 포함한 미세 운동 및 총체적 운동 기술에서 보다 기능적이고 조직적이며 조정되고 더 높은 품질의 움직임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

사회-정서적 및 행동적

사회적 정서적 및 행동적 기술
  • 적절한 사회적 행동, 충동 조절, 보상 기반 학습, 동기 부여 및 감정 처리.
사회적 정서적 및 행동적 기술과 관련된 뇌 영역
  • 변연계 - 편도체. 전두엽 - 전대상피질과 안와전두피질.
뇌가 사회적 정서적 및 행동적 기술을 위해 음성을 처리하는 방법
  • 소리의 생성과 사용은 뇌의 감정 센터와 보상 센터를 자극하여 적절한 사회적, 정서적 반응을 위한 자연스러운 동기 부여 및 자극제 역할을 합니다.
소리 활동이 사회적 정서적 및 행동적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어떻게 사용되는가
  • 소리 사용은 매우 동기를 부여하고 매력적이며 원하는 반응에 대한 자연스러운 강화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사운드메뉴버는 클라이언트가 부정적 및/또는 자기 자극적 반응을 줄이고 사회적으로 더 적절한 방식으로 참여를 늘리도록 자극할 수 있습니다
  • 사운드메뉴버는 공동 놀이, 교대근무, 호혜성, 타인의 말에 귀 기울이고 반응하는 것과 같은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사운드메뉴버는 개인이 자신의 감정을 파악하고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위협적이지 않고 체계적인 환경을 제공합니다.

감각

감각 기술
  • 오감의 감각 처리와 고유수용성 자극(근육과 관절에 대한 입력)과 전정 자극(균형을 위한 입력)을 처리하는 것입니다.
감각 기술과 관련된 뇌 영역
  • 두정엽 - 1차 체성감각 피질. 측두엽 - 1차 청각 피질과 상측두회. 후두엽 - 1차 시각 피질. 전두엽 - 후각과 미각 시스템. 뇌간 - 중뇌, 다리, 연수 및 하구..
뇌가 감각 기술을 위해 사운드메뉴버를 처리하는 방법
  • 사운드메뉴버는 청각, 시각, 촉각을 모두 포함하고 뇌의 모든 영역에서 처리되어, 다른 방식을 통해서는 접근하기 어려운 뇌 영역에 접근하고 자극을 줍니다.
사운드메뉴버가 감각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어떻게 사용되는가
  • 사운드메뉴버는 구체적이고 다감각적인 자극(청각, 시각, 촉각)을 제공합니다. 언어표현에서 리듬적 구성 요소는 감각 체계에 매우 조직적입니다. 결과적으로, 청각, 시각, 촉각, 고유수용감각(근육과 관절에 대한 입력), 전정(균형을 위한 입력) 및 자기 조절 처리 기술을 통해 향상될 수 있습니다.

1차 운동 피질 (브로드만 영역 4)은 인간의 경우 전두엽의 등쪽에 위치한 뇌 영역

1차 운동 피질 또는 M1은 전중심회와 뇌의 내측 표면의 전중심부 소엽에 위치합니다
1차 운동 피질은 숙련된 움직임을 생성하는 데 가장 중요한 신호를 제공하는 영역입니다 .

이 영역을 전기적으로 자극하면 자극된 영역에 따라 신체 반대편의 근육 그룹이 초점적으로 움직입니다.

이미지

위치 : 서울 종로5가역 2번출구 운영시간 보이스매핑이론

오시는 길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김상옥로 17 대호빌딩 신관 3층
운영시간
  • 월/화/수/목/금 : 07:00 ~ 23:00
  • 토요일 : 7:00 ~ 22:00
  • 일요일 : 8:00 ~ 22:00
고객 상담 센터

TEL. 02-777-0116

  • 월/화/수/목/금 : 07:00 ~ 23:00
  • 토요일 : 7:00 ~ 22:00
  • 일요일 : 8:00 ~ 22:00
  • 온라인Q&A
  • 검사예약
  • 전화걸기
  • Before&After
  • 온라인Q&A
  • 검사예약